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41

의곡지성 [이철주 작곡] - 심상남 대금연주 (징:한상욱, 장구:김주원) ▶ 심상남 프로필 '의곡지성'은 1996년 이철주 명인이 국악인 김원식, 심상남 부부의 조화로운 삶과 예술을 우리의 다양한 전통 가락과 리듬으로 표현한 창작곡이며,의곡이라 함은 두 부부를 의미한다. 경서도 지역의 경드름조와 동부지역의 메나리조, 호남의 계면조 가락이 느린 중모리장단-엇모리장단-중중모리장단-자진모리장단-세마치장단-느린 중모리장단 순의 리듬 위에 조화롭게 구성되어 펼쳐진다. 2013. 2. 7.
배뱅이굿, 경기재담소리 - 정남훈 ▶ 정남훈 프로필 2013. 2. 7.
국악가요 사모곡 - 지유진 ▶ 지유진 프로필 2013. 2. 7.
숙영 낭자전 중 옥련동으로 가는 대목 - 박송희 ▶ 박송희 프로필 2013. 2. 6.
흥보가 중 흥보마누라가 음식상을 차리는 대목 - 유영애 ▶ 유영애 프로필 2013. 2. 6.
아리랑 - 오노리사 ㆍ오노리사(小野リサ)는 일본의 유명한 보사노바 가수이다. 2013. 2. 6.
부산아리랑 - 김희은 (아리랑 보존회 부산지회장) 2013. 2. 6.
국악가요 '조각배' - 이현옥 2013. 2. 6.
아리랑연곡 - 부산시립소년소녀합창단 1973년에 창단된 부산시 산하의 합창단, 초등학교 3~ 6학년 학생들로 구성되어 있다. 2013. 2. 6.
우도 풍물굿 中 설장구놀이 - 장구 이부산 ▶ 이부산 프로필 호남 우도풍물굿은 평야가 많은 전북 익산과 옥구, 김제, 부안, 정읍, 고창, 전남의 영광, 장성, 나주, 장흥, 해남, 진도 등지에서 이뤄진 농악이다.호남 우도풍물굿은 좌도 풍물굿에 비해 여유가 있고, 화려한 맛이 있으며, 다른 지방에 비해 가락이 느리고 맺고 푸는 가락으로 리듬의 변화가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또 상쇠가 추는 부포놀이의 외사와 양사, 사사, 산치기 등 고갯짓과 춤, 설장구 춤이 고도로 발달돼 있다. 2013. 2. 5.
유산가 - 소리:강효주, 편곡/대아쟁:윤서경 서울을 중심으로 불려졌던 12잡가 중의 하나로 구비 전승되어 오다가 19세기 후반에 박춘경이란 사람에 의해 개작되었다. 봄산의 경치를 즐기는 화자의 흥겨움이 잘 드러나 있으며, 자연 속에서 한껏 즐거움을 누리는 선인들의 삶에 대한 낙천적 태도와 유흥적인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특히 폭포수의 장관을 묘사한 대목은 고유어의 의성어와 의태어가 사용되어 생동감 넘치는 표현의 효과를 얻고 있다. ▶ 강효주 프로필 2013. 2. 5.
LAST MINUTE - 퓨전국악밴드 '오리엔탈익스프레스' 오리엔탈 익스프레스(Oriental Express)는 국악과 재즈, 그리고 뮤직 테크놀로지가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퓨전음악그룹이다. 그룹의 리더이자 작곡 및 키보드연주를 담당하고 있는 최영준(서울예술대학 교수)을 중심으로 2005년 결성되었으며 드럼연주자 김현종(여주대학 교수), 베이스연주자 김현모, 가야금연주자 박경소로 이루어져있다. ▶ 박경소 프로필 2013.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