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속악 (성악 Vocal)314

춘향국악대전(2010년) 민요일반부 대상 - 최성진 --> 유튜브에서 보기 경기민요 최성진 ‧ 국립전통 예술고등학교 졸업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졸업 ‧ 중앙대학교 일반 대학원 국악과 수료 ‧ 57호 중요무형문화재 경기민요 이수자 현) 중앙대학원 최고지도자 과정 출강 현) 춘천국악원 유라예술단원 2012. 6. 14.
국악신동 송소희 - 태평가 --> 유튜브에서 보기 ☞ 송소희 프로필 보기 2012. 6. 14.
경기민요 창부타령 - 정남훈, 이희문 --> 유튜브에서 보기 ▶ 이희문 프로필 ▶ 정남훈 프로필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전수자,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음악극과 전공, 제12회 전국 경기민요 경창대회 대상, 제2회 홍성 전국 국악경연대회 종합대상 제37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민요부 장원 2012/06/27 - 차세대 남자경기명창 이희문 - 경기민요 창부타령 2012/06/06 - 강효주 - 경기민요 창부타령 2012/06/30 - 경기민요 창부타령 - 이호연 2012. 6. 13.
밀양아리랑 - 백인영선생의 예랑실내악단 (모듬북:고석진) --> 유튜브에서 보기 --> 백인영명인 홈페이지 2012. 6. 13.
국악신동 송소희 - 뱃노래 --> 유튜브에서 보기 ☞ 송소희 프로필 보기 2012. 6. 13.
故 박동진명창 - 판소리 '흥보가' 중 (1994년) --> 유튜브에서 보기 2012. 6. 12.
국악신동 송소희 - 노들강변 --> 유튜브에서 보기 ☞ 송소희 프로필 보기 2012. 6. 12.
안숙선명창의 구음과 이매방명무의 살풀이 --> 유튜브에서 보기 ☞ 안숙선 프로필 --> 안숙선명창 인터뷰기사 구음(口音)은 목소리로 향악기의 소리를 흉내내는 일종의 연주행위이다. 각 악기의 특성에 따른 독특한 말과 체계로 악기소리를 흉내내는 것은 계명창과 비슷하나 음의 높낮이나 길이뿐만 아니라 음악의 흐름과 강약, 시김새와 같은 특정 표현까지도 포함하는 점에서 계명창과 차이가 있다. 구음하는 방법, 즉 구음법은 각 악기마다 달라서, 가야금은 청흥둥당동, 거문고는 덩둥등당동딩, 대금 피리와 같은 관악기는 러루르라로리로 등 서로 다른 독특한 방법을 사용한다. 2012. 6. 9.
안숙선 판소리 - 수궁가 중 '토끼 배 가르는 대목' --> 유튜브에서 보기 ☞ 안숙선 프로필 --> 안숙선명창 인터뷰기사 2012. 6. 9.
판소리 흥보가 중 화초장타령 - 소리:조통달, 고수:정화영 --> 유튜브에서 보기 --> 판소리고법의 예능 보유자 정화영명인 인터뷰 보기 ☞ 조통달 프로필 2012. 6. 8.
구음 (강정숙)과 시나위 합주 --> 유튜브에서 보기 강정숙명창 -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예능보유자 ▶ 프로필 구음(口音)은 목소리로 향악기의 소리를 흉내내는 일종의 연주행위이다. 각 악기의 특성에 따른 독특한 말과 체계로 악기소리를 흉내내는 것은 계명창과 비슷하나 음의 높낮이나 길이뿐만 아니라 음악의 흐름과 강약, 시김새와 같은 특정 표현까지도 포함하는 점에서 계명창과 차이가 있다. 구음하는 방법, 즉 구음법은 각 악기마다 달라서, 가야금은 청흥둥당동, 거문고는 덩둥등당동딩, 대금 피리와 같은 관악기는 러루르라로리로 등 서로 다른 독특한 방법을 사용한다. 2012. 6. 8.
판소리 춘향가 (춘향모 통곡) - 신영희명창 --> 유튜브에서 보기 - 원광대학교 국악학과 교수 -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교수 - 한국 판소리보존회 이사 - 전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춘향가) 준문화재 지정 - 전 중앙 국립창극단 입단 - 전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김소희 선생 전수학생 선정 - 전 안기선, 장월중, 김준섭, 박봉술, 강도근, 김상룡 판소리 사사 - 2005 문화훈장, 1977 남원 춘향제 명창부 최우수상 수상 2012. 6. 8.